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30

집단 상담의 과정별 접근 방법 1. 집단 상담의 과정별 접근방법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교육적 상담 집단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법들 (1) 집단 상담의 초기 * 참여자들의 자기소개 : 인간적 모습과 관심사를 소개, 인상 기록을 나누기 * '누가 무엇을 이야기할 것인가'의 결정 : 개선하고 싶은 나의 행동 * 구두 편지 : 자기 인생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사람에게 쓰기 (2) 집단 상담의 중반기 * 2인조나 3인조로 분임 토의 : 관찰한 바로 상대방이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말 해주기 * 환상 펼치기 : 마술사처럼 자기가 바라는 것 아무거나 말하기 * 역할 연습 및 역할 바꾸기 * '자기 패배적 행동'의 소득 말하기 : '내가 ~이기 때문에 얻는 소득은 ~입니다.' * 일방적 의사 전달 : 오랫동안 이야기의 초점이 되나 실질적 진전이.. 2022. 9. 16.
일반의, 전문의 그리고 의원, 병원의 차이점은 뭘까? 최근 벌레에 물려서 한동안 피부가 가라앉지 않고 붓기가 심해 병원을 가게 되었습니다. 온라인에서 피부과를 찾아보면서 일반의가 있는 의원과 전문의가 있는 일반병원은 어떤차이가 있는 것인지 궁금증이 생겨 오늘의 내용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간략하고 알기 쉽게 준비하였으니, 꼭 참고하셔서 병원 가실 때 도움 받으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일반의와 전문의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Q. 일반의와 전문의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General physician(GP : 일반의)] 일반의가 되는 방법은 위의 표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크게 2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방법1. 일반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이후 의학전문대학원에서 4년을 수료하여 의사국가면허 시험에 합격하면 됩니다. 방법2. 의예과 2년, .. 2022. 9. 15.
집단 상담의 정의, 준비 계획, 과정까지 5. 집단 상담의 정의 - 집단 상담이란? 상담이나 심리치료의 집단적 접근으로 집단의 내담자들이 상담자의 인도 아래 개인 문제를 토로하는 형태, 상담의 '예방' 역할을 강조 6. 집단 상담의 필요성 - 비인간화된 시대적 배경에서 집단상담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 의사소통, 대인불안, 사회적 행동 학습 등에서 효과가 입증되었다. 7. 집단 상담의 목표 설정 - 구체성, 현실성, 그리고 개인적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 일반적인 집단 상담의 목표 1) 감정의 바람직한 표현, 발산을 촉진한다. 2) 자기 문제(관심사)에의 직면, 해결의 권장 3) 집단 생활에서 자아개념의 강화(또는 자기 표현의 향상), 협동심의 향상 4) 대인 관계 기술의 향상 8. 상담 집단의 구조적 특성 - 집단 지도력(리더쉽) : 민.. 2022. 9. 15.
단기 상담의 단계, 집단 상담의 장단점 3. 단기 상담의 초기 1) 상담 초기의 과제 - 대략적 계획 짜기 - 내담자의 상담자에 대한 반응과 관계가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지 평가하기 - 바람직하지 못한 태도, 행동에 분명한 태도 취하기 - 상담자도 완벽하지 않으므로 중요한 측면을 놓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기 - 내담자에 대한 강렬한 감정이 생긴다면, 의뢰를 다시 고려해보기 - 내담자의 반응 뿐 아니라 상담자 자신의 반응도 적극적으로 평가해보기 2) 행동 패턴의 발견 - 행동 패턴이 중요한 이유 (1) 상담 중 상호 작용 방식은 다른 대인관계 방식의 샘플이 된다. (2) 상담진행, 상담과제의 중요 문제에 대해 알 수 있다. - 상담 중 내담자의 일반적이고 전형적인 행동을 관찰하고, 다룰 수 있다. - 내담자 행동에 대한 직면은 조심스럽게 이루어.. 2022.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