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상담30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4. 시작한 일을 끝내려면 많은 경우에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부분은 자기제한 신념(self-limiting belief)이다. 자기제한 신념은 자신의 잠재력이 발휘되는 것을 방해하는 생각이나 가정이다. (제이콥의 사례에서 제이콥은 가족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두려움이 자신의 목표 달성을 막고 있었다. ) 성공에 대한 두려움은 자기제한 신념이 있는 사람에게는 커다란 압박으로 다가올 수 있다. 승진 후 동료 직원들에게 따돌림당하는 등 성공했기 때문에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한 사람의 경우를 보자. 크게 보면 승진은 긍정적인 방향이라 하더라도, 이는 '변화'를 의미한다. 변화는 불확실성을 야기하고, 불확실성에는 불안이 따른다. 우리 모두 피하고 싶어하는 바로 그것 말이다. 결승선을 넘으려면 자기제한 신념에 맞서야 한다.. 2022. 10. 14.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3. 어떻게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을까 집중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대를 파악하고, 과업 수행 시간을 늘리 수 있도록 뇌를 훈련하는 방법을 배우고, 집중력 향상 능력을 점진적으로 강화하도록 도와주는 법을 배운다. 다만, 집중력에도 기초 체력이 필요하다. (피로, 영양 부족 등은 집중력을 저해한다. ) 나는 언제 집중이 잘 될까? 대부분의 경우 한밤중과 이른 아침에 주의력이 가장 낮고, 정오 전후로 조금 나아졌다가 오후와 저녁에 가장 높다. 생체 리듬은 개인차가 있어서, 내가 언제 가장 집중 할 수 있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집중력 최고조 시간대를 파악하였다면, 가장 높은 집중력이 필요한 과업을 이때 수행하자. 주변 환경을 알맞게 조성하자 집중을 위한 공간을 만들자. 자신에게 집중이 잘되는 공간을 찾아보자.. 2022. 10. 12.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2. 나에게 맞는 미루기 극복 전략은? 자기자비를 연습하자 상냥하고 자애롭게 스스로에게 다독이며 격려하자 자기인식 수준을 높이자 자기인식 수준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일상적으로 하는 행동 하나를 골라, 자신이 해당하는 행동을 하는 순간을 인식하는 것이다. ex) 앉거나 서는 것, 문고리를 만지거나 물을 마시는 것 등 대상은 정하기 나름이다. 이를 통해 내가 미루기로 하는 순간, 혹은 작업 중 샛길로 빠지려 하는 순간을 인지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우자 구체적일 것(specific) 측정 가능할 것(measurable) 달성 가능한 목표일 것(attainable) 관련성을 지닐 것(relevant) 기한을 정할 것(time-limited) ex) 과목 성적과 전체 평점 상승을 위해,.. 2022. 10. 7.
심리검사의 시행 시 고려할 사항 1. 심리검사의 시행 시 고려할 사항 이상적으로 심리검사 반응은 피검사자의 특성에 따라서만 해석되어야 하겠다. 그러나, 실제로는 검사 실시 조건, 검사의 시행 방법, 검사자의 특징, 검사자의 태도,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의 상호 관계, 피검사자의 신체적, 심리적 상태, 동기 등에 따라 피검자의 검사반응은 적지 않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을 줄이고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검사자가 검사 실시의 표준조건에 절대적으로 따라야 할 것이다. 1) 신뢰감과 라포 형성 검사자는 검사 시행과정에서 피검사자와의 신뢰감과 라포 형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심리검사 시행 과정에서 라포 형성은 심리검사에 대한 피검사자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협조적 태도를 강화한다. 검사자는 피검자가 있는 .. 2022. 10. 4.